2017년 11월 6일 월요일

김한나 [쇼룸;매일의조각] 평문


매일의 조각 ; 뾰족한 섬을 구축하는, 사유의 단초들
 
 
 
최윤정독립큐레이터미술비평
 
    
지난 개인전 [,, ]이 일상적 삶 속에서 뾰족하고 날카롭고 불안한 관계적 속성을 지시한 서사들을 조각의 형태로 옮기는 작업이었다면, 이번 개인전 [쇼룸;매일의 조각]은 그 서사들을 풀어헤치고 작가의 구체적인 일상과의 접점에 보다 주목하여, 자신의 은연한 습관에서 비롯된 패턴 속에서 창작의 의미를 짚어보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말하자면 작은 조각으로 표상된 이 하나하나의 정서적 형상들이 다시금 쪼개지고 응축되고 나열되는 과정을 통해서 시간적 흐름과 창작 행위가 서로 결합되는 지점들을 일상과의 접점의 구체적인 의미로 부가하는 작업인 것이다. 일종의 드로잉같달까. 이 드로잉과도 같은 조각들은 그의 습성 안에서 매일의 시간을 통해 수행적으로 주조된 덩어리들이다.
 
그의 습성이 흥미롭다. 그것은 지난 개인전 인터뷰에서는 미처 포착하지 못한 부분이기도 하였는데, 하루의 시간이 빼곡이 시간별로 분할되어 스스로 해내야 하는 계획들로 채워진 그의 스케줄러를 발견했고, 그것이 내게는 이번 그의 작업들을 해석하는 중요한 실마리로 작용하였다. 어쩌면 우리 모두에게 시간의 쓰임이란 상대적이고 습성화된 패턴 안에서 각자의 개별화된 특징으로서 의미를 갖는다. 그의 매일의 (작은)조각이라는 표현을 매일의 생산과 창작에 대한 실천 행위를 담은 것으로, 어찌보면 넓은 덩어리로 뭉뚱그려 나는 그렇게 이해해왔었는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이 매일의 표현은 단위로서 시간이자, 이에 결합한 행위와 과정이 세밀하게 쪼개져 관리되는 작가의 습성을 설명하는 의미로서 보는 것이 적절함을 최근 다시금 깨달은 바다. 덕분에 시간이란 개념이 생각의 흐름을 연결시키기도 하고 또한 그 흐름을 파편화하기도 하는 관념인 것이자, 습성의 단위가 아닐까 하는 확신도 가져보게 되었다. 이 확신대로라면 작가의 매일의 조각은 그의 습성적 패턴으로서 시간과 행위의 결합을 보여주는 구체적인 증거에 다름 아니다. 거리를 산책하기 전후, 밥을 먹기 전후, 잠을 자기 전후, 생계를 위한 일을 하기 전후, 잡다한 생각들을 나열하기 전후, 그 시간의 틈 사이로 그는 자신이 문득 꽂힌 정서적 형상들에 의거, 그렇게 매일의 조각들을 조물조물 만들어왔다.
 
  결국 작가가 몰입하고 있는 것은 보이지 않는 그 무엇에 대한 자신의 정서와 뉘앙스를 외화시키는 구도와 형상에 있었다.”_[, 의것] 평문의 일부
이번 전시에 소개되는 작품들은 이렇게 만들어진 매일의 (작은)조각들을 통해 구성된다. 이 조각들은 작가의 사유와 세계를 구성하는 인식의 각 지점들을 포착하는 모나드와도 같다. 개개가 모나드로서 작은 조각들이면서 모듈화되어 만들어낸 볼륨들이 또한 인상적인 국면을 형성한다. 각각은 시간에 대한 관념과 행위의 이유를 뉘앙스로 담으며 작가가 몰입하고 있는 구도와 형상을 주조하는 방법론을 더욱 확장한 시도들이다. 핵심은 작은 조각들이고, 그것들이 모듈화되어 하나의 볼륨으로 구성되고 합쳐질 때 이 개개의 볼륨들은 시간과 행위의 결합 그리고 이에 대한 인식을 상징하는 구축적 사유의 베이스가 된다. 그리고 이들이 놓인 공간은 작가의 습성으로 축적된 요소들 즉 작가의 스케쥴러가 2차원 평면에서 3차원의 입체로 만들어지는, 나아가 시간의 개념이 깃든 4차원 물리적 세계의 시공간을 동적으로 시각화하는, 전체가 작가의 사유와 그의 흐름을 이해하는 하나의 미학적 볼륨으로서 쇼룸으로 완성된다. 그야말로 나의 세계는 이렇게 구축되고, 내 안으로 접근해보라는 당찬 선언에 마주한 듯한 기분이다.
다시금 지난 개인전 [, 의 것]이 일상적 관계 속에서 발견되는 형상을 발굴하고 그에 대한 정서적 서사들을 펼쳐보이는 시도였다면, 이번 [쇼룸;매일의조각]은 시간적 단위 틈새마다 놓여진, 예술가의 습성으로 화한 창작적 실천들의 원류를 결집하는 시도로도 해석해볼 수 있다.
그렇기에 그의 모듈화된 작업들은 개개의 볼륨이면서도 연결되는 구조로 공간 전체에 서사를 가미하는 것이다.
 
이번 전시에 소개된 작업 면면을 살피자면, 우선 일종의 관조적 감상의 틀을 가장 노골적으로 지정하는 상징이기도 한, 캔버스를 가지고 작가는 구조물을 계획하였다. 그 안에 매일의 (작은) 조각들이 또한 놓여지고 쌓여지는 구성을 사유의 구조틀 안에서 실험한 작업으로 보인다. 또 하나의 볼륨은 작가의 태도, 그가 일상에서 경험하는 관계적 상황이나, 세상에 대한 보이지 않는 알 수 없는 그 무엇에 대한 생각들이 낳은 뾰족한 섬의 형상들이다. (*뾰족한 섬 : 이는 작가에 대한 나의 전반적인 인지를 담은 것으로서 그를 지칭할 때 처음 사용한 표현이기도 하다.) 이 뾰족한 것들이 불안하면서도 간신히 균형을 맞추고 있는 모습에서 묘한 긴장감이 감지되기도 한다. 창작의 태도적 접근 및 내용적 고민을 시각화한 작업으로 읽힌다. 또 다른 작업은 시간의 틈 내지는 무언가 실행하기 전후를 상기하는 듯한 (시공간의) 분할 내지는 바로 그 시점을 전개하는 듯한 파란 구획물들이다. 공간에 서사를 입히고 개입을 하기 위한 설치적 측면에서 고안된 요소로 해석된다. 그리고 누르면 튕겨갈 것만 같은 행위의 일부를 표현하는 듯한, 점점이 의미롭지 않을 것 같은-인식되지 않을 것 같은 날을 상징하는 듯한- 작은 조각들로 구성되어 도리어 일상의 긴장과 함께 리드미컬한 흐름들을 표현한 작업은 도리어 역설적이다.


이에 덧붙여 빼곡이 쪼개어져 기록된 자신의 스케줄러 구성에 대한 습성만큼이나, 작가에게는 생각의 흐름들을 기록해놓은 일상의 단상 및 작업노트 등 텍스트 기록의 양이 상당하다. 인터뷰 당시 이번 전시에서 소개할지 여부를 작가는 또한 고민하는 중이었는데, 이 텍스트들 역시도 어절단위로 지워지고 잇고 덧붙이는 방식을 통해서 마치 작은 조각처럼 작가의 발화적 특징 및 생각의 단면들을 구축하는 단위로 충분히 역할할 수 있다. 어쩌면 보다 내밀한 무엇인가를 직관적으로 차갑게 인지할 수 있도록 돕는 바로 그 지점에 텍스트 작업은 때로는 유용하다.
작가는 언제나 자신의 창작작업이 자기 일상과의 접점을 찾아가는 과정임을 중요한 가치로 두었다. 생존에 기반한 현실적인 삶을 감내해야만 하는 장이기도 하고 예술가로서의 성장에 대한 기민한 전략들을 포함한 관계적인 환경으로서의 일상을 이름한다. 작가는 이번 개인전을 통해서 예술가로서 자신을 구성하는, 자기 세계를 구축하는 단위들에 대해 더욱 과감한 형태의 방법술로 고안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는 환경에 대해 표출되는 자기 정서의 원형을 발견하고 사물을 마주하는 태도로서 대상 자체의 형태적 속성에 감응함과 동시에 고유한 표현으로서 이에 자신이 반응하는 모든 것을 포함하는 듯 보인다. 왠지 이 과정들이 일종의 자기영토를 구축하는 도정에 서있기도 하지만, 자기영토의 속성을 보다 적극적으로 드러내는 작업으로 읽히기 때문이다. “작가로 살기 위해서는 내가 관심있고 나의 흥미를 끄는 즐거운 것을 해야 하는 것 같다. 누구나 선호하는 것이 아니라..” 인터뷰 끝에 그가 속삭이듯 무심코 던진 말이었다. 당시는 당연하게 들려서 한 귀로 흘린 말이기도 하였지만, 이 작업들을 관통하는 핵심에서 이 말이야말로 그의 사유와 창작의 줄기를 구성하는 모나드가 아니었을는지. 날카로운 물건이 살갗에 스치듯 차갑게 문득 내게 닿은 말이었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