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5월 27일 화요일

매개공간 미나里 개관기념전/// 자/발/적/ 영역표시 릴레이展-'滿새(사이)'

매개공간 미나里 개관기념전

자/발/적/ 영역표시 릴레이展-'滿새(사이)'


기획의도
매미큐레이터 최윤정



많은 사연이 오갔던 공간, '매개공간 미나里'가 드디어 개관한다. 이 공간을 이제 본격적으로 활용하기에 앞서 다양한 전시기능을 갖춘 공간으로서 어떤 공간해석들이 가능한지를 작가들의 작품배치에 대한 ‘욕망’과 결부시켜 진행할 예정이다. 그리하여 정제된 일반 갤러리에서의 배치보다는 좀 더 적극적인 활용이 가능한 배치를 유도한다는 점에서, ‘영역표시’를 주요 모토로 한 전시가 진행된다. 참여작가들은 작품이 아니라 각자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재료들을 가지고 이후 작품을 놓고 싶은 위치에 영역을 표시한다. 이 표시는 서로가 겹칠 수도 있고, 다른 작가가 보지 못한 것을 새로이 발견한다는 측면에서 작가들에게 공간에 대한 ‘희열’을 맛보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전시는 작품제작으로 일관해왔던 작가적 역할 뿐만이 아닌, 직접적으로 공간에 대한 그들의 '욕망’을 ‘날 것’으로 표현하게 되는 장이 될 것이다. 이를 통해서 전시공간으로서의 ‘매미’의 활용이 다소 거칠더라도, 그것이 ‘영역표시’의 이미지로 시각화되는 한 축을 마련해 보고자 한다.
.
참여작가는 지역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작가 층에서 고려하였다. 각각이 한 지역의 꼭지점이 될 수 있는 활동력을 보여주는 작가들로서, 작업의 이유가 명확한 신생 젊은 작가 및 공간이 지향하는 풍경을 작업적 내용으로 지니고 있거나, 재료 및 기법 상에서 공간에 유효한 설치작업들, 지역 예술계 커뮤니티에 대한 나름의 비판적인 시각을 지니고 있는 작가 층으로 하여 성별로 3인씩 섭외하였다.

5월 마지막 주 오픈 5일간은 작가들이 진행한 영역표시를 그대로 전시한다. 이후 각 열흘간 총 3회에 걸쳐 2인전 형식으로 로테이션되면서, 작가가 자신이 표시한 영역 위에 작품을 가져다 놓는 방식으로 약 30일간 전시가 진행된다. 이때 자신이 영역표시한 곳 외에 작품을 두게 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는데, 이 경우 기획자는 ‘영역표시’를 준수하지 않았다는 패널티로써 일종의 표식을 취한다. 이 표식을 통해 기획자와 작가의 공간점유 및 해석에 대한 욕망의 한 단면이 시각적으로 드러날 것이다. 그 속에는 또한 작가와 기획자 간 협업체계로 진행한다는 맥락에서 작가에게 최대한의 자율성을 부여하되, 전체적인 윤곽을 잡고 있는 자로서 기획자의 몫과 책임을 상정해보고자 하는 의도도 분명 포함된다 .


滿새(사이)' 전시제목에 대한 사연

자/발/적 영역표시 릴레이展-'滿새(사이)' (이하 ‘만새전’) 은 작가의 자발적인 영역표시와 2인전 릴레이 방식으로 진행되는 전시형식을 직접적으로 알려준다.
만새는 전시의 내용이다.
‘滿’은 공간이 채워진다는 의미로 많은 이들이 와서 담소할 수 있는 장소로서 ‘온기’가 차오르는 것을 연상할 수도 있고, 공간에 작업들이 채워진다는 의미를 안고 있다.
‘새’는 ‘사이’의 준말로서 ‘빈공간 곳곳’을 의미하기도 하고 공간이 추구해야 할 한 축, 지역미술계의 반목과 갈등을 포섭하는 ‘복덕방’내지는 ‘사랑방’ 역할을 담당하겠다는 의지를 순화한 표현이자, 따뜻한 관계 설정의 단어로서 설정된 것이다. 또한 ‘滿새’는 ‘만세!’의 발음유희로 ‘매개공간 미나里’에 대한 격려를 요청하는 자축의 의미이기도 하다.
. .
~만 말’토크의 의미'~만 말'은 ‘~’ 속에 어떤 단어나 상황을 넣던지 간에 유머러스한 한정이 통용될 수 있는 일종의 문법체계이다. 이는 자연스럽게 워크숍 및 포럼과는 전혀 다른 형태의 대중화된 방식의 익숙한 대담 형태인 토크쇼의 형식과 연동되는 의미이기도 하다. 그 형식을 차용하여 진행자의 몫에 따라 참여작가와의 일반적이면서도 일반적이지 않은 대화들을 이끌어 갈 예정이다. 이는 영상으로 촬영되어 매미홈페이지에 삽입된다. 더불어 토크쇼가 끝난 뒤에는 모자란 내용들을 보충하거나 교류를 위한 공간에서 진행할 수 있는 초/간/단 다과-‘매미’bar with '生'파티가 준비될 것이다.
.

참여작가 소개

이호동은 조선대 미대 조소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을 수료하였다. 1회의 개인전을 포함하여 다수의 단체전에 참여하였다. 주요작업으로는 ‘청소12 퍼포먼스’(2002) 및 ‘마음 속에 내가 울고 있어요’(2002), ‘소+묘 퍼포먼스’(2003)와 ‘1+상’(2003) 등의 퍼포먼스를 진행하였고, 스톤앤워터 ‘웰컴 투 작업실’(2003)에 참여하였다. 현재 북아트 연구소 및 Group fusion의 멤버로 활동 중이다.

장호현은 조선대 미대에서 판화미디어를 전공하였다. 최근 ‘무자년 기획전-쥐구멍에도 볕들 날 있다’(신세계갤러리,2008)을 포함하여, 영아트페어&옥션전(롯데화랑), '아이콘-landscape+전’(롯데화랑,2007), ‘아이콘-거시기씨 오르가즘양을 꼬셔봐!’(지산갤러리,2006) 외 중흥동 프로젝트(2006 아트인시티)에 아이콘 그룹으로 참여하였다. 현재도 프로젝트 그룹 아이콘 멤버로 활동 중이다. .

조광석은 조선대 미대에서 조소를 전공하였다. 2회의 개인전을 포함하여 다수의 단체전에 참여하였는데, 주요단체전으로는 청년작가초대전 ‘48의 보행’(옥과미술관,2008)을 비롯하여, 환경미술제 ‘에코토피아를 향하여’(옥과미술관/롯데갤러리,2005), ‘생로병사’(광주시립미술관 분관,2005), ‘즐거운 상상-조광석, 양문기 2인전’(롯데갤러리,2004), ‘안빈낙도’(옥과미술관,2004), ‘광주청년미술작가’(옥과미술관, 2003) 등이 있다. 현재 백학회와 광주청년작가회 회원으로 활동 중이다.
. 임남진은 조선대 미대에서 회화를 전공하였다. 개인전을 비롯하여 다수의 단체전에 참여하였으며, 주요 단체전으로는 ‘온고이지신展-‘잃어버린 퍼즐을 찾기’(대전시립미술관,2007),‘투영-한국현대미술’(대만국립미술관,2006),‘코리아통일미술전’(광주시립미술관,2006) 및 ‘화가의 지갑’(2005), ‘광주-아홉 개의 창(窓)’ (5?18문화회관, 2005), ‘우리시대 탱화 2인전’(2000), ‘JALLA전’(일본동경미술관,2000) 등이 있다. 대한민국불교미술대전(1998) 및 제 4회 신세계미술제(2001)에서 수상하였다. 현재 전국민족 미술인연합, 광주 민미협으로 활동 중이다. 현재 광주시립미술관 창작스튜디오 입주 작가(2008)로 활동하고 있다.
. .정운학은 목포대와 프랑크푸르트 국립미술대학을 졸업하였다. 독일에서 4차례의 개인전을 가졌고,국내에서 2차례의 개인전을 개최했고, 봄날은 간다’(광주시립미술관,2008) 및 ‘광주미술 현황과 전망전’(서울 인사아트센터, 광주 신세계갤러리),‘광주시립미술관 창작스튜디오전’(광주시립미술관 금남로분관), ‘국제현대미술 광주아트비젼’(광주시립미술관), ‘중국송장문화예술축제Art Linking-북경’, ‘즐거운 그림나라’(광주시립미술관 어린이갤러리), ‘용봉제를 바라보다’(구 도청), ‘중흥동공공미술프로젝트’에 참여하였다. 광주신세계 미술상(2002)을 수상하였고, 광주시립미술관 창작스튜디오 입주작가(2006-2007)로 활동하였다.
. 주라영은 전남대에서 미술교육을 전공하고, 인도 산티니케탄 Visva-Bharati에서 조소와 벽화를 전공하였다. 2회의 개인전을 비롯하여 다수의 단체전에 참여하였는데, 주요단체전으로는 ‘미술과 놀이’(예술의 전당, 2007)을 비롯하여 포천아시아비엔날레 특별전(2007), 제 2회 광주비엔날레 조각파트 공공미술프로젝트(1997) 그 외에도 개관 10주년 기념전-상상력발전소’(울산 현대예술관, 2008) 등에 참여하였다. 현재 광주미협 및 남도조각회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전남대와 광주여대에서 강의하고 있다.


자/발/적 영역표시 릴레이展 ‘滿새(사이)’ 일정

5월 25일(일)~5월 29일(목) 자발적 영역표시 공간해석전
5월 31일(토)~6월 9일 (월) 제/대/로 영역점유 릴레이전 1부- 이호동 & 장호현
6월 12일(목)~6월 21일(토) 제/대/로 영역점유 릴레이전 2부- 임남진 & 조광석
6월 24일(화)~7월 3일 (목) 제/대/로 영역점유 릴레이전 3부- 정운학 & 주라영

~만 말 토크’ 안내 매 '~만 말' 토크는 저녁 7시에 진행되며, 끝난 직후 ‘매미’bar with '生' 파티가 진행된다. 금번 만말토크의 주제는 ‘무슨 작업??’이다. 개관전의 모토가 ‘공간에 대한 해석’이기에 그로부터 작가와 개별 작품에 대해서 소외되거나 놓칠 수 있는 부분들을 중심으로 하여 자리를 마련한다.
6월 7일 (토) 이호동과 장호현 -이하 이장 ‘만말’
6월 14일(토) 임남진과 조광석 -이하 임조 ‘만말’
6월 24일(화) 정운학과 주라영 -이하 정주 ‘만말’
(pm 7:00~8:30 ~만 말 토크 / pm 8:30~ ‘매미’bar with '生' 파티)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