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10월 16일 목요일

평론- 마문호 / ‘몸짓-표정’이 지닌 보편적인 ‘열망’

마문호 / ‘몸짓-표정’이 지닌 보편적인 ‘열망’


최윤정 ● 미학 • 미술비평


얼굴에 새겨진 주름은 그가 살아왔던 세월의 경험과 비례한다고 한다. 그리하여 주름은 그가 고통스런 삶을 살았건, 평온한 삶을 살았건 그가 밟아 온 자취들에 대한 표정이다. 이미 그 쓸모를 겪은 물건 역시도 그것이 사용되었던 흔적 하나하나를 주름으로 고스란히 남긴다. 그 주름은 세상살이의 흔적이자, 그 물건 혹은 그 사람의 평생을 빗대는 ‘은유’일지도 모른다. 은유는 그렇기에 분명 추상일 수 없다. 그것은 분명한 실체를 표면 안과 밖으로 가장 원초적으로 드러내는 수단이자 ‘속’이다. 설명이 소극적이고, 일방적인 전달과 상대의 무식을 전제로 한다면, 은유는 심적으로 개입하는, 이미 누구든지 인지할 수 있었던 ‘사실’에 가깝다. 원리적으로 그것이 이성의 가장 취약한 부분인 감성에 있다 할지라도, 그리하여 시적인 미화로 여겨진다 하여도, 은유는 차라리 이성의 한계를 끌어안으면서 이성의 계기를 확장하는 표현으로 보는 게 옳다. 작가 마문호의 형상은 그 ‘주름’이라는 은유를 ‘땀’이라는 형식을 통해서, ‘익명성’의 몸짓 형상으로 그려내면서 개별이 지닌 보편의 표정을 담아낸다. 그것이 그가 말하는 현실이다. 서사와 구상의 형식을 빌어 형상을 표현하고 있지만, 그가 형상으로서 재건하고자 하는 ‘현실’은 일차적인 비유를 넘어서는 것이다. 이번 2008 개인전을 비롯하여 광주비엔날레 제안 ‘복덕방 프로젝트’ 참여작을 관통하는 그의 주제는 바로 ‘열망’이다. 개인이 지닌 열망, 예술가가 지닌 열망, 시장이라는 장소성이 지닌 열망, 시장사람들의 열망. 그가 말하고 싶은 열망은 단순한 바람의 차원이 아니라, 삶의 무수한 흔들림 속에서 겪는 상처를 봉합하고 치유하고자 하는 것 혹은 전혀 인식하고 있지 못한 무의식이 지닌 우리네 열망이다.
예술가로서 그가 ‘민중미술’에서 ‘민주미술’을 외치기까지, 추상적인 형상과 원시적인 색면에서 차별적인 재료와 구상에 대한 ‘바느질 드로잉’을 행하기까지, 그의 사유는 예술과 현실적인 삶이 유착될 수 없다는 것에 놓여 있다. 그가 늘 외치는 명제는 예술은 허구요, 예술을 행하는 자에게 있어서 현실적 삶을 풍요롭게 하는데 결코 예술이 표명될 수 없음을, 또한 역으로 예술을 표명하는데 있어서 현실적 삶이 과연 유관할 수 있는가를 ‘대놓고’ 보이는 것이다. 간단하게 예술가에게 삶은 예술보다 우선시 될 수 없다. 이는 우선 리얼리즘 기반 속에서 예술이 삶을 직접적으로 반영하는 일종의 도구로 여겼던 것에 대한 비판이자, 더불어 여전히 그와 관련한 어떠한 실천에 대한 반성이기도 하다. 그리고 과연 그것이 진정 자신이 마주한 솔직한 현실이었는가에 대한 것이기도 하다. 결국 예술은 현실적 삶보다 가치적으로 진정 현실에 대해 우위에 있다. 그렇기에 그에게 예술은 허구다. 그가 처한 현실은 보편적으로 예술의 자율성을 담보하기에는 거리가 먼, 오히려 예술행위를 저해하는 요소일지도 모른다. 이와 같이 다소 냉소적이라 할 수 있는 그의 작업관은 결국 예술가로서 자신과 자신의 환경을 인식하는 것에서 비롯된 바다.
과거 그의 작업은 인물을 묘사함으로써 거둬지는 표정이었다. 그러나 자신으로부터 비롯된 환경에서 그가 선택한 주제는 이제 현실적 삶의 양태로 그려지는 표정들이다. 그것은 풍경일 수도 있고 또한 살아가는 모습일 수도 있다. 그는 이를 ‘살이’라 표현한다. 이 ‘살이’는 자기 감정이 보편 속에서 드러나는 추상적인 ‘표정’이다. 이는 기존에 리얼리즘이 행했던 사회 참여적이어야 하고 구체적으로 표현되어야 했던 그야말로 협소한 구조에 대해서 그 의미 층위를 확장한 계기로 평가된다. 그렇기에 그것은 보다 솔직하다. 현실은 언제나 여기저기에 있었고, 지금도 그저 마주할 뿐인 것이다. 그것이 바로 ‘살이’이다.
여기서 그가 마주한 ‘현실’과 그가 선택한 주제는 단순히 의미로서만이 아니라 그가 선택한 재료에도 일관되게 고스란히 반영된다. 어찌 보면 그의 작품에 있어서 재료는 그의 명제를 타당하게 하는 가장 훌륭한 틀이다. 동시에 그의 작업에 대한 ‘알리바이’다. 기존에 유화를 통해 동일선 상에서 작업을 진행했던 그는, 이제는 이미 그 생을 다한 폐비닐 위에 바느질로 새기는 행위를 통해서 상처의 접합, 재생을 시도한다. 이는 동시에 쓰레기일 법한 재료들이 작품으로 그럴싸하게 보여 지게끔 하는 일종의 교란이기도 하다. 이는 형식을 통해서 꼬집어 보이는 예술의 허구이다. 낯익고 불편한 재료들을 통해서 권위적인 예술에 대해 입을 봉하라는 방식이다. 이 같은 요소는 간혹 미적으로 빠져들 수 있는 작품 감상을 의도적으로 저해하는 장치로 이어지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그늘, 놀다/에서 그는 아무 손질도 하지 않은 폐타이어와 그가 즐겨듣는 록음악을 한편에 설치하여 다소 어수선한 전시장 분위기를 자아내기도 하였다.
그의 바느질 드로잉은 촘촘하게 잘 짜인 앞면과 달리 뒷면은 불완전함을 그대로 드러낸다. 그에게 있어 바느질이 무녀의 제의와 같이 삶의 상처를 봉합하고 치유하는 과정이라면, 그 뒷면은 외상의 흔적으로서의 은유이다. 끝마무리로서 길게 늘여진 실밥과, 앞면과는 달리 흐릿한 형상들, 구체적이지 않은 형상들은 자연히 삶 속에서 떠안을 수밖에 없는 것으로서 자신도 인지하지 못하고 혹은 기억하고 싶지 않은 무의식이 간직한 상처이다. 포대에서 감아올린 실마저, 실이 만들어낸 형상이 멀리서 희미한 주름처럼 보이도록 하기 위해 선택된 폐비닐의 색상조차도 그것들은 모두 하나가 되어 겉으로 드러내지 않은 개인과 사회의 숨은 열망들을 두드린다. 그래서 이러한 형상의 이미지들은 다소 보편적이고 서사적이다.
한편 이와 더불어 작품에 사용되는 텍스트는 이미지들이 갖는 서사성을 뭉개는 역할을 한다. 말하자면 그가 사용하는 텍스트는 어떤 경우에서는 작품자체에 대한 의미라기보다는 하나의 도안이자 디자인이다. 그 의미에 현혹되어 그 자체 일차적인 의미로 받아들인다면 이는 매우 곤란하다. /치워라, 그늘/에 새겨진 FTA와 그 주변에 새겨진 각종 형상들은 그야말로 FTA가 진행되건 아니건 간에 현실은 늘 동일했고 어떤 경우이건 살아가고 있다는 의미에서 그저 무덤덤하게 귀찮다며 ‘치워라’고 말하고 있을 뿐이다. 또한 /일등광주/는 그 의미와 더불어 문화적 범주가 지녀왔던 권위적인 총체성을 계속된 동어반복으로 오히려 일/등/광/주라는 기표 자체로 물화시켜 버린다. 오히려 자부심을 상징하는 거대 의미로 쓰인 텍스트가 불품 없어지는 순간이다. 이는 결국 일등광주라는 의미에 대한 조소이자 의미자체를 낯설게 하는 효과이다.
삶에 대한 은유, 상처와 봉합, 버려진 것과 재생, 예술과 현실, 실재와 허구에 대한 문제는 조각난 것들, 그것이 물건이건 혹은 사람이건 혹은 사회이건 간에 그것들이 지닌 ‘열망’ 속에 모아진다. 작품에서 ‘열망’은 몸짓 형상이 보이는 표정에 따라 또한 떠오른다. 물론 우리는 자신이 지닌 ‘열망’을 평생 모를 수도 있고, 알고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결국 그 무엇도 진실이 아닐 수 있다. 그것은 파여서 보이는 주름이 아니라 떠오르는 표정이자, 순간에 발견되는 것일 수 있다. 예술로서 의미를 발견하고 동시에 이를 헛된 것으로서 부정하게끔 하면서 만들어 내는 일체감은 분명 그가 선택한 형식에서 비롯된 바가 크다. 그것은 예술가로서 자기 일상 속에서 우러나온 방법론이면서 동시에 그만의 적합한 예술이 되었다. 덧붙여 우리가 ‘열망’을 간직하건 아니건, 발견하건 못하건 간에 삶은 언제나 ‘열망’과 함께 하였고, 그것은 어쩌면 ‘일상’과 동의어일지도 모른다.



Ma Mun-ho / A universal aspiration which a ‘gesture-look’ owns.


Choi Yoon Jung ● Aesthetics • Artcritic

People say, wrinkles in a face forms in proportion to experiences of one's time. So a wrinkle is a look that means a trace which one exists in a painful life or not. The things that breath its last, also remains on its own wrinkles as a trace that have been used. The wrinkle may be not only a trace of a way to live, but also a metaphor that is compared with things or one's whole life. So definitely a metaphor cannot be abstract. It is a means and 'the inner part' that exposes a clear substance inside and outside the surface. Assuming that an explanation is passive and a one-sided communication and also relies on the other's ignorance, a metaphor is close to 'a fact' intervening mentally, which everybody could have been aware. In principle, though it is located on a sensitivity as a weak part in rationality and though we regard it as a poetic beautification, it needs to understand that a metaphor extends the moment of rationality with drawing a limitation. The artist Ma Mun-ho's shape represents a metaphor 'wrinkle' through the form 'stitch'. Expressing gesture-shapes of 'anonymousness', he paints a universal look which individual has. It is the real for him. He presents his own shape with a narrative and concreteness but his own 'the real' which he rebuilds, gets over a superficial understanding. Including 2008 solo exhibition, participating artwork in Gwangju Biennale position paper 'bokdukbang project', his theme is the very an 'aspiration' that is taken by individuals, artists, and a site-specific of market, market people. His aspiration is not a simple desire, but that it seams hurts which one suffers in one's countless unrest, and recovers them. Moreover it is something to be in a unconsciousness that cannot be discovered.
Until He emphasizes the 'minju(democracy)-art' from 'minjung art' as an artist and changes abstract shapes and primitive colored scene into embroidery-drawing with the different materials and concreteness, he thinks that art cannot adhere to a real life. So his proposition is that art is just a fabrication, because art never profess that it can make an art creator's real life affluent and conversely it may be exposed 'without a hitch', whether art activity is connected with the real life or not. Shortly for artist, the real life cannot be prior to art. This is a criticism for what realism have considered art as an instrument reflecting human life. And also this is a reflection for a certain practice connecting with a sense of justice. As expected, it is about what the real is. At last, the art value is superior to the real. So to him, art is just a fabrication. His real life may be far from guaranteeing art autonomy, and it may prevent art activity. In this way, his outlook on artwork as a partly cynical artist has begun since he was aware of himself in the real.
In the past, his work was a look obtained that he described a figure. But Now the theme chosen from his environment, is a look drawn by an aspect of life. It may be a landscape or picture to make a living. For this, his expression is a 'living'. This 'living' means that it reveals one's own emotion as an abstract look in universality. It is appraised as a moment to extend the stratum of meaning against confined structures of the realistic requests that must be a social activity and must describe a concrete expression for society. For that reason, the notion of 'living' is franker than realism. Because the real always have been here and there and everyone only confront the real in their daily life. This is the very 'living'.
On the other hand, his 'the real' and the chosen theme are reflected in not only the meaning but also the material consistently. The material is the best frame that makes his proposition adequate, and have become an good 'alibi'. Having been taken the notion of 'living' into consideration, he had drawn on canvas with oil-painting. But now his canvas is changed into abandoned vinyl which have been used, he tries to return its life as seaming shapes on it. This is a sort of disturbance which the trash seems to be an artwork. Correctly to him, it is an art fabrication indicated by his own form. So this element is connected with an instrument that sometimes prevents the aesthetic feelings. Having installed a bald tire and rock music he likes-/Shadow, playing/, in some degree he leads an exhibit hall to be a noisy atmosphere.
His embroidery-drawing exposes an incompleteness of the backside as it is, contrary to the well organized front side. If the embroidery is a process to seam hurts and to recover them - such a shaman's rite, the back side is a metaphor as a trace to an external wound. In a substantial sense, the hanged ravelings as the last touches, and dim shapes contrary to the front side, unclear shapes are equal to the hurts which we cannot help taking all upon ourselves, and possessed by unconsciousness or we never want to remember. Even though the thread is drawn by a used sack and the abandoned vinyl-with its own color- chosen for seeming a dim wrinkle, acting in a body, the materials all touch the hidden aspiration of individual and society. So this images of his shapes are somewhat universal and narrative.
Together with this, on the other hand his text works upon crushing narratives in image. So to speak, the text doesn't say the meaning of artwork itself, but it is only a pattern and a design. It is difficult that we would understand the text as a superficial meaning. In /Get out of here, shadow/, FTA as a text has no connect with the real FTA, that is, whether the real FTA will go on or not, the real is always identified at all times. So as a meaning of living on, the real life just says like this, 'go away' with an annoyed look. And in /the first rank, Gwangju/, with its superficial meaning, through a steady tautology, the text put an authoritative totality which cultural category maintains, to shame. So a meaning of text only has been materialized as a signifier. Finally, this is a laugh for the meaning of 'the first rank, Gwangju', it makes an effect which the meaning itself is become unfamiliar.
A metaphor for life, the hurts and seaming them, the abandoned and revival, art and the real, reality and fabrication, whether it is things or human or society, they all come together in 'aspiration'. 'Aspiration' rises to the surface following a look which gesture-shape shows. Undoubtedly we cannot be aware of our own 'aspiration' or we can think that we know it absolutely. But both views may not be true. The wrinkle of life is not dug, but risen as a look. And it may discover in a moment after all. Coming from the repeating operation that finds meaning for art, or at the same time denying art as a unbelievable thing, a sense of unity is undoubtedly originated from the form which he choose. Springing up in his daily life, his method is his own art. In addition to keeping 'aspiration' in one’s heart or not, and discovering 'aspiration' or not, our lives always get together with aspiration. So to speak, I am supposed that 'aspiration' may be equal to one's everyday.
(translated by cHOiyoOnC)

댓글 없음: